‘값진 U-20 월드컵 준우승’ 정정용호, 한국 넘어 아시아 축구 역사 새로 쓰다
이상빈 기자 2019.06.16 / 뉴스 > 스포츠
‘값진 U-20 월드컵 준우승’ 정정용호, 한국 넘어 아시아 축구 역사 새로 쓰다

대한민국 20세 이하(U-20) 축구 국가대표팀의 2019 FIFA 폴란드 U-20 월드컵 여정이 준우승으로 막을 내렸다. 사진은 16일(한국 시각) 폴란드 우치의 우치 스타디움에서 우크라이나와 결승전에 나서기 전 기념촬영에 임하는 한국 U-20 대표팀. /대한축구협회
[한국스포츠경제=이상빈 기자] 머나먼 폴란드 땅에서 시작한 한국 20세 이하(U-20) 축구 국가대표팀의 여정이 마침내 막을 내렸다. 남자 축구 사상 처음으로 국제축구연맹(FIFA) 주관 대회 결승에 오른 한국은 우크라이나에 패하며 최종 문턱에서 좌절했다. 비록 우승 트로피는 가져오지 못했지만, 한국 축구는 물론 아시아 축구 역사에 의미 있는 발자취를 남겼다.
한국은 16일(한국 시각) 폴란드 우치에 자리한 우치 스타디움에서 열린 우크라이나와 2019 U-20 월드컵 결승전에서 1-3으로 패배했다. 전반 4분 만에 이강인이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뽑아내며 앞서갔지만, 전반 34분 우크라이나 공격수 블라디슬라브 수프리아하에게 동점골을 허용했다.
전반전을 1-1로 마치고 맞은 후반전 시작 7분 만에 수프리아하에게 역전골을 내줬다. 공격을 퍼부어도 좀처럼 우크라이나 골문은 열리지 않았다. 전반전과 달리 후반전에 여러 차례 공격 기회를 얻었지만 마무리의 세밀함이 떨어졌다. 한국은 후반 44분 역습 상황에서 추가 실점했다. 미드필더 헤오르히 치타이슈빌리의 빠른 돌파를 막지 못하고 추가골을 헌납했다. 끝내 두 골 차를 뒤집는 데 실패한 한국은 우크라이나에 발목이 잡히며 기나긴 여정에 마침표를 찍었다.
비록 준우승으로 끝났지만, 한국은 최약체라는 평가와 맞서 싸우면서 조별리그부터 토너먼트까지 온갖 어려움을 딛고 결승 무대에 오르는 반전 드라마를 썼다. 아시아 팀으로는 1983년 대회 카타르와 1999년 대회 일본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U20 월드컵 결승전에 올랐고, 첫 번째로 득점을 기록했다.
맹활약한 이강인(18ㆍ발렌시아 CF)은 대회 최우수 선수에게 수여하는 골든볼에 꼽히는 영광을 안았다. 2003년 아랍에미리트(UAE) 대회 이스마일 마타르(36ㆍ알 와흐다 FC) 이후 아시아 선수로 사상 두 번째이자 16년 만의 쾌거다. 이강인은 한국이 결승전까지 치른 7경기에 모두 출전하며 2득점 4도움을 올렸다. 한국이 대회에서 기록한 9골 중 절반 이상을 자신의 발끝에서 만들었다.
동료들보다 두 살이나 어려 막내로 대표팀에 합류한 그는 맏형 같은 활약을 펼치며 날아올랐다. 대회 내내 막내와 형을 합친 ‘막내형’이란 별명도 얻었다. 2005년 네덜란드 대회 리오넬 메시(32ㆍFC 바르셀로나) 이후 14년 만에 골든볼 수상자가 된 만 18세 선수로도 이름을 남겼다.
에이스 이강인(사진)은 2019 FIFA 폴란드 U-20 월드컵 골든볼 영예를 안았다. /대한축구협회
이강인 외에도 엄원상(20ㆍ광주FC), 오세훈(20ㆍ아산 무궁화 FC), 이광연(20ㆍ강원 FC), 최준(20ㆍ연세대) 등 만 20세에 불과한 젊은 선수들의 가능성을 확인한 것도 긍정적이다. 이들은 ‘이강인 원맨팀’이란 세간의 평가를 뒤엎고 전방과 후방에서 제 몫을 다하며 한국을 대회 준우승으로 이끌었다.
프로팀 후보 자원이거나 아마추어 신분인 한국 축구 유망주들이 세계 무대에서도 통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건 큰 성과다. 이들은 2020년 7월 개막하는 도쿄 올림픽 23세 이하 축구 대표팀에도 합류할 경쟁력을 입증했다.
나아가 2022년 9월 항저우 아시안게임, 2022년 11월 FIFA 카타르 월드컵 대표팀의 미래로도 자리 잡았다. 젊은 태극전사들이 U20 월드컵에서 수확한 준우승은 한국 축구의 가능성을 열고 전망을 밝힌 위대한 역사로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