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글입니다
<위인 및 유명인들의 묘비명과 마지막 남긴 말>
* 김수환 추기경의 묘비에는
“주님은 나의 목자, 나는 아쉬울 것이 없어라”라는 묘비명과
“너희와 모든 이를 위하여(PRO VOBIS ET PRO MULTIS)”라는 글귀가 새겨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삶을 ‘팍팍하다’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한 많은 민족정서는 유언이나 묘비명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반면 서양의 묘비명은 예전부터 냉소적이고 재치 있는 형식을 갖추는 것이 일반화돼 있다. 모진 풍파를 겪은 사람일수록 그 재미는 더하다.
* 죠지 버나드쇼(100년 가까운 생을 살며 제1, 2차 세계대전을 모두 겪은 영국의 극작가 . 1856~1950)
“우물쭈물 살다 내 이럴 줄 알았지(I knew if I stayed around long enough, something like this happen)”라는
엉뚱한 글귀를 새겼다. 글 쓰는 일을 평생 업으로 삼은 사람다운 기발한 재치가 엿보인다.
그러나 재치 있는 말에 마냥 웃을 수만은 없다. 그의 말대로 ‘우물쭈물하다’ 기회를 그냥 놓치는 일이 허다하기 때문이다. 그는 인생을 허망하게 날리는 사람들에게 준비하는 삶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싶었던 것이다.
* 어니스트 헤밍웨이(1899~1961)는 인간의 비극적 모습을 간결하게 표현하던 자신의 문체 그대로
“일어나지 못해 미안하오(Pardon me for not getting up)”라는 묘비명을 남겼다.
그는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에 의용병으로 참가하며 겪은 전쟁의 참혹함과 1928년 아버지의 권총자살 등
파란만장했던 삶 속에서도 유머를 잃지 않았던 삶을 한마디로 풀어냈다.
* 존 게이(이탈리아 극작가. 1685~1732)는 작품 <거지 오페라(The beggar’s opera)>에서 당시 자유당 내각에
대한 신랄한 풍자를 담아 대중의 인기를 얻었다. 그는 이탈리아 오페라에 대한 날 선 비판으로도 유명했는데,
그의 풍자적 인생관은
“인생은 농담이야. 모든 것이 그것을 말해주네. 전에도 그렇게 생각했지만 죽어서야 알겠구나(Life is a jest. And all things show it. I thought so once. But I now know it)”라는 묘비명에도 잘 나타나 있다.
* 벤자민 프랭클린(1706~1790)은 25세 되던 1731년 자신의 묘비명을 미리 만들어 놓았다.
그의 묘비에는 “출판업자 벤 프랭클린의 시신이 여기 벌레의 먹이로 누워 있다. 그러나 그의 업적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니, 늘 새롭고 더 우아한 판으로 개정될 것이기 때문”이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
200년이 훌쩍 지난 지금도 그의 전기는 꾸준히 개정출판되고 있으니 그의 유언은 곧 현실이 된 셈이다.
* 중광스님
‘걸레’ ‘미치광이 중’을 자처하며 삶을 파격으로 일관했던 중광 스님의 묘비명은 “괜히 왔다 간다”다.
권력이나 물질적 풍요를 누렸던 인생이든, 가난에 찌들었던 인생이든 모두 덧없는 것임을 명쾌하게 표현한 문장이다.
* 존 키츠
“물로 이름을 쓴 한 남자가 여기 누워 있노라"
위트는 있으되 그저 웃으며 지나칠 수 없는 의미를 내포한 묘비명도 있다.
* 칼 마르크스 (1818~1983)
공산주의의 창시자 칼 마르크스(1818~1983)는 그의 평생동지였던 엥겔스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
“유언이란 평소에 할 말이 없었던 사람이나 하는 것 같네.”
그는 <공산당선언> <철학의 빈곤> <경제학 비판> 등의 저서를 집필하며 세상을 향해 자신의 목소리를 충분히 냈다고 판단한 모양이다. 결과적으로 실패했지만 그의 생각대로 ‘뉴 레프트 운동’은 이후 여성운동·환경운동·인권운동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공자(BC 551~479)
“지는 꽃잎처럼 현자는 그렇게 가는구나”라는 유언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체 게바라(1928~1967)
1967년 볼리비아 정글에서 총살당할 때 처형을 담당했던 하사관에게
“방아쇠를 당기시오. 당신은 단지 사람 한 명을 죽이는 것뿐이오”라는 말을 남겼다.
* 루트비히 판 베토벤(1770~1827)
그는 창작활동 중 소리가 들리지 않는 것을 가장 고통스러워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죽음 직전에도 무음(無音)의 고통 속에서 “천국에서는 소리를 들을 수 있겠지”라며
음악가에게 생명보다 소중한 ‘귀’가 없었던 힘든 삶에 마침표를 찍었다.
* 루이 14세(1638~1715)
72년간 절대권력을 휘두르며 무리한 전쟁을 벌여 경제를 파탄시킨 그는 임종 직전 루이 15세에게
“너는 이웃나라와 싸우지 말고 평화를 유지하도록 힘써라. 내가 밟은 길을 따르지 말고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해라. 불행하게도 내가 행하지 못한 일을 네가 해주기 바란다”는 유언을 남겼다.
또 그는 “왜 우느냐? 너는 내가 평생 살 줄 알았느냐? 사는 것보다 죽는 것이 더 힘들구나”라는 말도 남겼는데, 죽음은 이처럼 한 사람이 평생 누려온 세속적인 것을 체념하게 하기도 한다.
* 볼테르(1694~1778)
많은 사람이 운명에 순응한 반면, 그는 죽음에 대한 공포 혹은 분노를 참지 못하고 독설을 남겼다.
프랑스 문학가 는 생전에 종교를 부정하는 글을 많이 남겼다. 그는 “20년 이내에 기독교는 사라질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죽을 때는 담당 의사에게 “나는 하느님과 인간에게 버림받았소! 나를 살려준다면 내가 가진 재산의 절반을 주겠소. 나는 지옥으로 갈 거요. 아, 하느님!”이라고 부르짖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의 저서를 인쇄했던 건물은 제네바성경협회의 보관소가 됐다.
* 안중근(1879~1910)
우리나라 사람들의 유언과 묘비명은 한(恨)의 정서에 영향을 받지만
정의·철학·수신을 총망라한 ‘종합세트’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도 있다.
대표적인 것은 일제강점기 인물들의 말이다. 그는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암살하고 체포된 뒤
아내, 어머니, 천주교 신부 조지프 빌렘(한국이름 홍석구) 등 가족과 지인에게 5개의 유언을 남겼다.
처형 직전에는 “나는 천국에 가서도 또한 마땅히 우리나라의 회복을 위해 힘쓸 것이다.
(중략) 대한독립의 소리가 천국에 들려오면 나는 춤추며 만세 부를 것이다”라고 말했다.
* 윤봉길(1908~1932)
그는 1931년 겨울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 김구를 만나 한인애국단에 가입하고
1932년 4월29일 상하이(上海) 훙커우공원에서 열린 일제의 상하이 점령 전승기념 행사장 연단에 폭탄을 던진 뒤 체포됐다.
그는 같은 해 12월19일 일본 가나자와 육군형무소에서 사형이 집행되기 직전 “마지막으로 남길 말은 없는가”라는 질문에 “사형은 이미 각오했으므로 하등 말할 바 없다”는 말을 남겼다.
* 조봉암(1898~1959)
그의 묘비에는 생전의 어록에서 발췌한 “우리가 독립운동을 할 때 돈이 준비되어서 한 것도 아니고 가능성이 있어서 한 것도 아니다. 옳은 일이기에 또 아니하고서는 안 될 일이기에 목숨을 걸고 싸웠지 아니하나”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
* 박수근(서양화가. 1914~1965)
“천당이 가까운 줄 알았는데 멀어, 멀어…”
* 조병화(시인. 1921~2003)
“나는 어머님 심부름으로 이 세상에 나왔다가 이제 어머님 심부름 다 마치고 어머님께 돌아왔습니다”라는
묘비명을 남겼다.
* 유일한(유한양행 창업주. 1895~1971) .
유언의 큰 틀은 “재산을 공익사업을 위해 기부하고 딸 유재라는 내 묘지 주위의 땅 5,000평을 ‘유한동산’으로 꾸며
아이들이 뛰놀 수 있게 하라”는 것이었는데 유재라 여사도 세상을 떠나기 전 200억 원을 사회에 환원했다.
* 김수환 추기경의 유언
“서로 사랑하라”
- 세상에 남긴 말 혹은 묘비명
* 최영(무관, 1316~1388) "위엄을 떨쳐 나라를 구할 때 백발이 성성했구나 "
* 허목(학자, 1595~1682) "말은 행실을 덮어주지 못하였고, 행동은 말을 실천하지 못했도다."
* 최북(화가, 1712~1786?) "아아, 몸은 얼어 죽었어도 이름은 오랫동안 사라지지 않으리로다."
*정약용(문신, 1762~1836)
"네가 너의 착함을 기록한 것이 여러 장이 되는구려 (중략)
힘써 하늘을 밝게 섬긴다면 마침내 경사가 있으리라."
* 방정환(아동문학가, 1899~1931) "동심여선(童心如仙) - 아이 마음은 신선과 같다."
* 박인환(시인, 1926~1956) "사랑은 가고 옛날은 남는 것"
* 오상순(시인, 1894~1963) "흐름 위에 보금자리 친 나의 혼 "
* 이호우(시조시인, 1912~1970) "여기 한 사람이 이제야 잠들었도다 "
*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화가 / 조각가, 1475~1564)
"아무 것도 보지 않고 아무것도 듣지 않는 것만이 진실로 내가 원하는 것."
* 에이브러햄 링컨(정치인, 1809~1865)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는 영원할 것이다."
* 노스트라다무스(철학자, 1503~1566) "후세 사람들이여, 그의 휴식을 방해하지 마시오."
* 토머스 에디슨(발명가, 1847~1931) "상상력, 큰 희망, 굳은 의지는 우리를 성공으로 이끌 것이다."
* 앤드루 카네기(기업인, 1835~1919)
"자기보다 훌륭한 사람들을 곁에 모으는 기술을 가졌던 사람이 여기 잠들다."
* 프리드리히 니체(철학자 / 시인, 1844~1900)
"이제 나는 명령한다. 자라투스트라를 버리고 그대 자신을 발견할 것을."
* 스탕달(소설가, 1783~1842) "살았다, 썼다, 사랑했다 "
* 기 드 모파상(소설가, 1850~1893) "나는 모든 것을 갖고자 했지만 결국 아무것도 갖지 못했다 "
*호머 헐버트(사학자, 1863~1949) "나는 웨스트민스터 사원보다 한국 땅에 묻히기를 원하노라 "
* 윌리엄 포크너(작가, 1897~1962) "나의 야심은 역사에 묻혀 없어진 한 사람의 개체로 남는 것이다 "
* 로널드 윌슨 레이건(정치인, 1911~2004) "옳은 일은 언제나 궁극적으로 승리한다 "
* 프랑수아 모리아크(소설가, 1885~1970) "인생은 의미 있는 것이다. 행선지가 있으며, 가치가 있다."
* 르네 데카르트(철학자 / 수학자, 1596~1650) "고로 여기 이 철학자는 영원히 존재할 것이다."
* 셔우드 앤더슨(소설가, 1876~1941) "죽음이 아니라 삶이야말로 위대한 모험이다 "
* 키르케고르(철학자, 1813~1855) "잠시 때가 지나면 그때 나는 승리하고 있으리라 "
*세바스찬 샹포르: "40세가 되어도 인간이 싫어지지 않는 사람은 인간을 사랑한 일이 없는 사람이다."
* 라이너 마리아 릴케(시인, 1875~1926) "오, 장미여! 순수한 모순의 꽃 "
* 프랭크 시나트라(가수 / 영화배우, 1915~1998) "최상의 것은 앞으로 올 것이다 ."
* 칼 마르크스(작가, 1818~1883)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조지 고든 바이런(시인, 1788~1824) "그러나 나는 살았고, 헛되이 살지 않았다 "
* 프란시스 베이컨(화가, 1909~1992) "아는 것이 힘이다"
*장 드 라퐁텐(시인 / 동화작가, 1621~1695)
"장은 밑천과 수입을 모두 탕진하고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갔노라 "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시인, 1865~1939) "삶과 죽음에 차가운 눈길을 던져라, 마부여, 지나가라! "
* 프란츠 피터 슈베르트(작곡가, 1797~1828) "음악은 이곳에 소중한 보물을 묻었다."
* 에밀리 디킨슨(시인, 1830~1886) "돌아오라는 부름을 받았다"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작곡가, 1756~1791)
"우리는 묘비명이 아닌 음악으로 위대한 작곡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를 기억한다 "
* 프랑수아 비용(시인, 1431~1463?)
"아무 쓸 데도 없는, 머리가 돈 부랑자는 우리 모두의 어머니인 대지에 몸을 되돌렸다 "
* 라파엘로 산치오(화가 / 건축가, 1483~1520)
"여기는 생전에 어머니 자연이 그에게 정복될까 두려워 떨게 만든 라파엘로의 무덤이다 "
* 알렉산드로스 대왕(마케도니아의 왕, BC 356~BC 323)
"용기 있게 살고 영원한 명성을 남기고 죽는 것은 아주 멋진 일이도다! "
* 윌리엄 셰익스피어(극작가 / 시인, 1564~1616) "여기 묻힌 유해가 도굴되지 않도록, 예수의 가호가 있기를!"
* 아서 코난 도일(소설가, 1859~1930) "강철처럼 진실하고 칼날처럼 곧았다 "
*엘리자베스 1세 (잉글랜드의 여왕, 1533~1603) "오직 한순간만 나의 것이었던 그 모든 것들."
* 게일 보든(발명가, 1801~1874)
"나는 시도하다 실패했다. 그러나 다시 또 다시 시도해서 성공했다"
- 영국 런던의 웨스트민스터 대성당 지하 묘지에 있는 어느 성공회 주교의 묘비명엔 이렇게 쓰여 있다고 한다.
" 젊고 자유로워 상상력이 끝이 없을 때 나는 세상을 변화시키려는 꿈을 가졌다.
좀 더 나이가 들고 지혜를 얻었을 때 나는 세상이 변하지 않으리라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시야를 조금 좁혀 내가 살고 있는 나라를 변화시키겠다고 결심했다.
그러나 그것 역시 불가능한 일이었다.
황혼의 나이가 되었을 때 나는 마지막으로
나와 가장 가까운 내 가족을 변화시키겠다고 마음먹었다. 그러나 누구도 달라지지 않았다.
이제 죽음을 맞이 하기 위해 누운 자리에서 나는 깨닫는다.
만일 내 자신을 먼저 변화시켰더라면 그것을 보고 내 가족이 변화되었을 것을.
또한 그것에 용기를 얻어 내 나라를 더 좋은 것으로 바꿀 수 있었을 것을.
그리고 누가 아는가. 세상까지도 변했을지."
* 삶과 죽음을 생각하는 회. 홍양희회장님이 제공한 자료 편집
-----------
11월은 과연 가을을 재촉하며 위령의(가톨릭에서) 달이어서 죽은이들을 생각해 하는 그런月
우리도 언젠가는 죽는다 살아있는 모든 생명은 죽음을 맞이하게 되어있다 .
죽음은 또 다른 하나의 삶인지도 모른다
'펌글과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멋진 풍경 한번 보실레요 (0) | 2020.02.20 |
---|---|
치과의사 언어해석 (0) | 2019.12.03 |
상식처럼 알고 있어야 하는 치매예방법 (0) | 2019.08.05 |
'사랑, 그 쓸쓸함에 대하여' (0) | 2019.08.05 |
너무 사랑스러운 아기 (0) | 2019.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