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속 시리즈물

(1)신앙인에게 과학은 왜 필요한가?

가톨릭신문의 기획특집으로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 김도현 신부님의 글을 시리즈로 올립니다

 

Home > 기획/특집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발행일2022-01-02 [제3276호, 16면]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 (1)신앙인에게 과학은 왜 필요한가?

참된 신앙 가치 지키고 선포하려면 과학 이해할 필요 있어

우리 신앙 정립하기 위해서라도 과학이라는 주제 상당히 중요해
이러한 필요성 느끼는 신앙인께 권위있는 답변 해드릴 계획

------

과학의 주장과 가톨릭교회의 가르침은 서로 충돌하지 않는가?

신앙인에게 과학이 필요한가?

과학이 하느님을 섬기는 도구가 될 수 있을까?

여전히 많은 이들의 인식 속에는 교회가 과학을 배척하거나 포용하지 않는다는 편견이 자리잡고 있다.

새해부터 연재를 시작하는 기획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는 과학과 신앙 간의 조화가 충분히 가능하며, 이 둘 모두가 하느님을 섬기는 좋은 도구가 된다는 것을 알아가는 장이다.

                              코로나 바이러스 예상 이미지.


우리는 ‘과학’이라는 단어를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커피나 맥주를 함께 마시면서 최근까지 우리를 괴롭혀온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에 대해서 토론을 한다고 해보죠. 그러면 어떤 사람은 그냥 인터넷에 떠도는 이야기 중 몇 가지에 근거해서 ‘이렇다더라 저렇다더라’ 이렇게 어물적 얘기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고 ‘코로나 바이러스는 이런저런 이유 때문에 어떤 온도 또 어떤 상황에서 증식이 가장 잘 된다더라’라고 하면서 나름의 근거와 논리를 가지고 설명을 하는 사람들도 분명히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이들에게 우리는 “저 사람은 과학적으로 접근하는군” 하고 말합니다.

우리의 일상 삶 안에서는 이런 식으로 근거와 논리를 가지고 말하는 사람들이 좀 피곤할 수 있겠습니다만, 적어도 어떤 심각한 문제나 사안이 있을 때, 우리가 살면서 어떤 결정을 내려야 될 때 그리고 어떻게 사는 것이 과연 올바른 삶인가에 대해서 우리가 심각하게 고민해야 될 때에는 이렇게 이성적인 추론과 보편적이고 논리적인 근거를 통해서 무언가를 따지고 탐구하는 자세가 분명히 필요한 것 같습니다.

농사를 짓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죠. 아침에 해가 뜨면 일어나서 아침밥 먹고 조금 쉬다가 농사를 짓다가 또 점심 때 해가 중천에 떠오르면 밥을 먹고 낮잠 좀 자다가 또 옆집에 마실도 갔다가 또 저녁이 되어서 해가 지면 저녁을 먹고 좀 있다가 자고… 이런 식으로 단순하게, 큰 고민 없이 물 흘러가듯이 사는 것도 일반적으로 추천할 만한 삶이긴 합니다.

하지만 살아가다 보면 왜 올해는 유독 비가 오지 않을까, 왜 올해는 유독 병충해가 많은 걸까, 왜 올해는 유독 이렇게 비가 많이 와서 홍수 때문에 농사가 잘 안 되는 것일까 등등 살면서 분명히 우리에게 닥치는 여러 가지 어려움들, 고민거리들을 하나하나 따지고 이런 문제가 생기게 된 이유를 밝혀내는 사람들도 분명히 필요해 보입니다. 이러한 소수의 사람들이 조금씩 조금씩 자기 나름의 경험을 글로 남기거나 후세 사람들에게 전달해 줌으로 해서 세상에는 많은 종류의 학문들이 자연스럽게 생겨나게 된 것입니다.

그런데 특별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과 우리 주변에 이 자연의 위치를 따지고 탐구하는 과정에서 이상적인 추론과 보편적이고 논리적인 근거를 통해서 이러한 것들을 따지고 탐구하는 사람들이 언젠가부터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왜 평소에는 하늘의 색깔이 파랗다가 태양이 떠오르거나 질 때에만 왜 하늘의 색깔이 빨갛게 물드는 것일까? 여러분도 궁금하지 않으신지요?

 

그런데 일반적인 하늘색은 파란색이고, 노을색은 빨간색인 이유를 알게 된 지는 불과 150년밖에 되지 않습니다. 거의 1870년경이 되어서야 레일리 남작이라고 흔히 알려져 있는 존 윌리엄 스트럿(John William Strutt, 1842~1919)이라는 물리학자에 의해 비로소 하늘의 색깔에 관한 정확한 물리학적인 이유가 완벽하게 이해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면 1870년 이전의 사람들은 하늘의 색깔에 관해서 아무런 생각이 없었을까요? 아닙니다. 그들도 나름 이런저런 근거와 이유를 따져가면서 무언가를 설명하려고 애를 썼지만, 그 설명이 정확하지 못했기 때문에 계속해서 더욱 정확한 설명을 찾아가다가 1870년경이 되어서야 비로소 그 현상에 관한 완전한 근거와 이론을 확립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이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학문들 중에서 특별히 이성적인 추론과 보편적이고 논리적인 근거를 통해서 세상과 자연의 이치를 따지고 탐구하는 학문을 우리는 특별히 과학(Science)이라고 부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여러 변이들 중에서 왜 하필 다른 변이도 아니고 델타 변이, 오미크론 변이가 전염성이 강한 것일까요?

 

이 질문은 현재 아주 중요한 과학의 주제가 되고 있습니다. 대단히 이성적이고, 보편적이고 논리적인 근거를 통해서 이 질문에 대해 답을 할 수 있게 된다면, 그때에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창궐이라고 하는 심각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상당히 중요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바로 이러한 과학이 실제로 이 세상에서 우리가 살아가는 데 대단히 필요한 학문이라는 것을 우리는 우리의 경험을 통해 이미 충분히 잘 알고 있습니다.

만일 과학적인 태도가 없다면 증권에 투자하는 사람들은 십중팔구 망할 수밖에 없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과학적인 태도가 없다면 많은 이들이 그냥 전염병에 걸릴 것이고 다른 이들보다 건강하지 못한 채로 살다가 세상을 떠날 가능성도 분명히 높아지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사이비 종교에 빠져서 평생을 헛되이 살다가 진정한 구원을 맛보지 못한 채 허무하게 죽을 수도 있게 될 것입니다. 정말 종교를 제대로 믿기 위해서라도 우리에게는 과학적인 자세가 대단히 필요하다는 것을 이제 우리는 알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사이비 종교 신자들의 그럴듯한 논리와 설득에 휘둘릴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과학이라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고 이 과학의 내용을 잘 이해하는 것을 통해서 우리 신앙의 가치와 내용을 지켜나가는 것이 사실 대단히 필요합니다. 바로 우리의 신앙을 올바로 정립하기 위해서라도 과학이라는 주제는 사실 상당히 중요합니다. 그런데 그 과학 가운데서도 특별히 자연을 학문의 대상으로 탐구하는 과학을 우리는 자연과학이라고 부릅니다. 자연과학에는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같은 학문이 있습니다.

 

이 학문들이 특별히 오늘날 우리에게 중요한 이유는 이 학문들이 일상생활 안에서 우리에게 너무나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 우리에게 벌어지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 문제가 대표적인 자연과학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한 사건입니다. 그리고 자연과학적인 내용을 잘 모르게 되면 우리는 빅뱅이라든가 진화론처럼 우리의 신앙과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이런 자연과학적인 문제와 맞닥뜨리게 될 때에 우리가 아무런 답을 할 수가 없게 되고 그러면 일방적으로 과학적 배경 지식을 갖춘 무신론자들에게 끌려다닐 가능성이 대단히 많게 될 것입니다.

이 글을 읽는 분들께서 다니시는 본당의 신자분들 중에는 진화론과 같은 과학적인 질문을 하면서 “이 과학의 주장과 우리 가톨릭의 가르침이 서로 충돌되지 않습니까?”라고 묻는 이들이 분명히 많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이제 이 글을 읽는 여러분들께서는 바로 그러한 질문들에 대해서 이제부터 권위있게 답을 해주실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무신론을 극복하고 우리가 우리의 참된 신앙을 계속적으로 다른 이들에게 선포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자연과학의 내용을 어느 정도 알아야 될 필요가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신앙인 여러분들을 위해 저는 올 한 해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김도현(바오로) 신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물리학 학사와 석사·박사학위를 받은 후, 서울대 이론물리학연구센터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예수회 입회 후 서강대 신학대학원에서 신학석사, 필리핀 로욜라신학대학에서 교회신학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강대 교수 및 가톨릭대 신학대학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신학, 과학을 만나다 – 현대 과학의 과점에서 본 그리스도교 신학의 새로운 해석」 등이 있다.

김도현(바오로)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