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입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어느 한가지에 정신이 빠져있을 때 몰입이라고 말한다 그렇게를 자주하면 미쳤다고 한다 그렇다 좋은일은 미쳐도 좋다 자기가 좋아하는 정말로 사회에 이익이 되고 자신도 좋다면 좋은 미침이다 많은 철학자 과학자 음악가 미술가들이 미침으로서 명화를 명음악을 만들어냈던 것이다
하나밖에 없는 삶은 중요하다 어떻게 사느냐? 서울대 교수인 황농문씨는 이걸로 그야말로 머리를 싸맷단다 오랜 고심끝에 얻은 결론은 진정으로 좋아하는것을 노력해서 얻는것, 그럴려면 한가지에 몰입하는것이다 그저 몸만 쓰고 두뇌는 안쓰고 그러다가 안되겠다시퍼 걸어가면서 운전하면서 엘리베이터 타면서 수없이 생각해낸것이 그야말로 몰입하여 열중하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이길이 가시밭길이 아닌 천국의 길임을 알았고 연구가 재미있어지기 시작했다 그러다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그야말로 믿어지지 않을정도로 감격한다
이 결과물을 세상이 알것이다 장기간의 결과로 그는 논문을 쓰기로 한다
그는 몰입하는 일이 삶보다 중요하게 되었다 그것이 소명의식으로까지 느끼게 된다
"니가 하는 공부에 목숨걸고 해봤느냐?" 자신에게 물어봐라 몰입하지 않으면 안된다 진짜로 몰입하면 문제가 풀리고 재밌다
행복은 좋아하는 일을 하는것이 아닌 내가 하는 일을 좋아하는 것이다
내가 해야 할일을 좋아하면 그건 천국이고 무한대이다 자연히 몰입하게 된다
자연계에서 보면 얼룩말이 사자에게 쫒길 때 몰입하여 달린다 몰입은 진화론적이다 "난 몰입이 안돼!" 이런사람들 있다 이건 말도 안되는 소리다 얼룩말도 몰입하는데 사람이 몰입을 못한다고,
얼룩말은 사자가 쫒지 않으면 삶이 무료해진다 쫒길 때 생동감을 느낀다 인간도 저런 상태를 일부러 느끼는 사람들 있다 낭떠러지 바위게 대롱대롱 매달린다든지 하면 위기감이 유도되고 몰입된다
테니스, 골프, 게임....할때도 우리는 몰입한다 우리의 기능은 생존과 번식에 연결되어있다 원래 몰입이란 생존을 위한 기능이다 우린 이걸 활용해야한다
능동적몰입, 목숨이 걸린만큼 뇌를 착각하게 만든다 tv의 슬픈 드라마에 운다 그러나 속은 것이다 실지가 아니기 때문이다 명상도 이완된 상태에서 집중하고 있다 꼭 긴장만이 아니다 slow thinking은 결과에 집착하지 않고 힘을 빼고 몰입한다 간난아기도 몰입한다 기저귀차고 잠깐동안에 벽쪽에 기대어 잠을 잔다 사진을 보니 정말 낮잠에 몰입한다
수면은 중요하다 잠을 줄이면서 공부하지마라 깨여있는 시간 1초도 쉬지않고 목숨을 건다 너무 뇌를 많이쓰면 잠이 안온다 그래서 운동을 한다 농구 샌드백 같은 땀을 흘리는 약간의 운동이다
한 과목을 일주일이상 한다 수학을 한다면 수학의 뇌가 활동한다 도파민이 나와 쾌감을 느낀다 수학의 산을 올라갔다 내려와서 다시 영어의 산을 타고 하면 바보같은 짓이다 끝까지 몰입한다 다른과목을 바꿀려면 내려와서 다시 다른과목속으로 들어가는데 그 전과목은 정상까지 가고 몰입하고나서의 일이다
"난 공부하면 졸려!" 하는 사람은 slow thinking을 잘하는 사람이다 바로 그때 선잠을 잔다(20분정도) 1시간이상 자면 안된다 선잠은 하루에 5번 해도 상관없다
이해위주, 생각위주, 진도는 천천히 나가도 완벽히 소화하라 미지의 문제 스스로 해결하라 객관식에서 주관식으로
결과보다는 과정을, 최선을 다했다는 생각, 선택과 집중 명확한 목표 모르는 문제 나오면 빨간펜으로 box친다
그 박스친것은 나중에 공부한다 무한반복의 기능을 활용하라 (영어의 암기등)몰입하는 사람의 성격자들은 반복을 해야한다 지금 하는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정신적 집중하라 수학할 때 그것이 세상에서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하라
꼭 시험이 아니드라도 "최선을 다 하면서 살꺼야!" 하라 몰입하면 살도 빠진다
"공부하는게 재미 있어요" 이런 말이 없으면 몰입을 못하고 있는것이다
상념이 끊임없이 떠오르는 학생들 많다 이런 학생들은 한 과목을 일주일이상 하는것에 동의하지 않는다 공부하다 시계를 보면 집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절대로 성장하는것을 포기하지마라 직장에서도 마찬가지 숙고하는 삶을 살아야한다 숙고하지 않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 소크라테스가 한말이다 일종의 도전이다 탁월함은 우리안에 있다 그것을 꺼내어 쓰는것이다
사회에서의 문제해결 능력과 어린시절의 학습방식의 상관관계는 대단히 높다 일을 안하면 뇌세포가 죽는다 즉 머리를 쓰지 않으면 뇌세포가 죽는것이다 사용되지 않는 뇌세포는 퇴화한다
도전과 응전에 의하여 인간은 발달한다 우리의 뇌는 a를 요구하면 a을 발달시켜준다
미지의 문제를 푸는 능력 창의성발달 등...우리의 뇌는 후천적이다
"나는 머리가 좋은것이 아니라 단지 문제가 있을 때 남들보다 조금 더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말은 알다시피 아인쉬타인이 한 말이다
뇌과학의 관점에서 본 성공적인 사람이란 우연히 자라온 환경이 선천적인 기질에 적합한 도전을 부가함으로써 최적의 발달이 유도되고 하는 것이다
승자의 뇌(winner effect) , 승리를 자꾸하면 사람이 바꿔진다 자꾸 승리하게 된다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은 후천적으로 형성된다 도전과 성공을 반복적으로 한다
더디더라도 아이들 스스로 자기만의 방법을 찾는것이 중요하다 이 말 참 중요하다 요즘 헬리곱터 맘이니 해서 엄마들이 다 해주려고 한다 공부 잘하는 아이가 입사시험에서 떨어졌다 엄마가 당장 전화걸어 "우리아이 떨어진 이유가 뭐예요?" 했다는 말도 있다 회사에서 이런사람 안뽑길 잘했다
아이들 스스로 자기만의 방법을 찾는것은 선진국나라의 상식이다 우리나라는 상식이 아니고 사육하는 사람들만 가지고 있다 우리는 성장해야 한다 그러기위해서는 몰입이 중요하다
서구의 리더십은 나혼자 잘되는것이 아닌 모든 사람이 잘 되려고 한다
어떤 사람들의 내적동기를 보자
a : 무엇을 경험해도 최선의 삶을 살아야 하는 이유를 찾는다
b :왜 최선을 다해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한다
정신적 성숙은 어떻게 길러지는가?
고생하면 철이든다 고통은 인간으로 하여금 생각하게 만들고 생각은 인간을 지혜롭게 만든다
스티브잡스는 스탠포드대학의 졸업식 축사에서 죽음의 이야기를 했다 경사스러운 날에 무슨 죽는이야긴가?
예일 대학에서 최고의 명강의는 '죽음' 강의이다 청소년들에게 죽음 강의를 하면 자살과 비행이 줄어든다고 한다
우리는 항상 성장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그의 말을 몇자 적으면서 황교수님의 글을 나름대로 정리해서 올려봤습니다
"다름 사람의 삶을 사느라 시간을 낭비하지 마라
계속 갈망하라! 여전히 우직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