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는 이야기

"내가 장녀인데, 왜 상주는 남동생이 하나요"

"내가 장녀인데, 왜 상주는 남동생이 하나요"

이현정 입력 2020.12.19. 07:01 댓글 5847

 

40대 A씨는 10년 전 아버지 장례식만 생각하면 서러워진다. 자신이 맏이인데도 상주는 막내 남동생이 했고, 발인하는 날 영정사진도 남동생이 들었다. 갓을 쓴 생전 처음 본 집안 어르신이 나서 장례를 주도하며 남동생과 모든 것을 상의했고, 자신은 찬밥신세였다. 아버지를 잃은 슬픔마저 찬밥 취급을 당한 것 같아 두고두고 가슴에 남았다.

위계적이고 가부장적인 장례문화는 A씨 집안 만의 일이 아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20~50대 1312명을 대상으로 한국의 장례문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남성은 상주나 주요 의사결정자 역할을 하는 데 반해, 여성은 부차적이고 보조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19일 설문조사를 담은 ‘한국 장례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및 성평등한 장례문화 모색’ 이슈페이퍼에 따르면 상주의 역할, 영정사진과 위패 들기, 의사결정 권한과 상주 이후 제주의 역할까지 남성이 맡고 있다는 인식이 강했다. 특히 ‘상주 역할, 영정사진이나 위패를 드는 것은 주로 남성’이라는 데 95%가량이 공감했다.

반면 ‘상주는 남성, 여성은 조문객 맞이’라는 식의 기존 장례식 성역할에 대해선 반수 이상이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해 현실과 인식간 선명한 차이를 보였다. ‘상주는 남성이 해야 한다’는 진술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라는 응답률이 60.0%로 과반을 넘었고, 특히 ‘장례에서 여성은 음식을 준비하고 조문객을 대접해야 한다’는데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69.6%로 더 많았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송효진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장례문화는 모든 절차와 의식이 남성 중심으로 이뤄지고 여성은 주변화되어 가부장제가 극대화됐다”며 “현재 우리 사회에서 요구되는 성평등 문화 수준과 동떨어져 있다”고 지적했다. 사회 변화에 따라 가족의 모습과 구성이 다양해지고, 가족 문화와 가치도 많이 변화했으나 유독 장례 절차만은 남성과 아들 중심의 형식적 경직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설문조사 참여자의 89.2%는 ‘성차별적 제사 문화를 변화시켜야 한다’고 답했다. 또한 85.8%가 ‘기존의 장례방식은 1인 가구, 비혼 증가 등 최근의 가족 변화와 맞지 않는다’는데 동의했다.

‘장례에 상주가 필요한가’란 질문에 63.9%는 여전히 필요하다고 했으나,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도 36.1%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상주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사람을 대상으로 ‘사랑하는 사람·가족의 장례식에서 상주는 누가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를 묻자, 36.9%는 ‘장남·장손’, 36.0%는 ‘가족이 상의해 결정해야 한다’고 답했다. ‘고인과의 친밀도 순’(10.0%), ‘성별에 관계없이 나이순’(6.8%) 등의 답변도 있었다. 남성 중심의 상주가 아닌 다양한 관계들을 고려하고 있는 것이다.

‘장례와 관련된 중요한 의사결정은 누가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서는 48.0%가 ‘외가, 친가, 성별 등 구분없이 남은 가족들이 상의해서’라고 답했으며, ‘상주를 정하고 상주를 중심으로’라는 의견도 22.6%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84.7%는 ‘성별에 따라 역할을 한정하고 차별하는 장례문화를 개선하려면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송 연구위원은 “응답자들이 전반적으로 성평등한 장례문화에 대해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해당 정책에 대한 요구가 높은 편”이라며 “가부장적이고 성 불평등한 장례문화 관련 법제를 개선하고, 성평등한 장례문화 확산을 위한 홍보·캠페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비혼, 1인 가구, 제도 밖의 친밀한 관계에 있는 당사자들이 자신의 죽음 이후 장례 등을 부탁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제도적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

장례와 결혼문화는 아직도 고리타분하다 결혼은 그런대로 고쳐가는 중인데 아직도 장례상주는 남자가 한다

딸만 있는집은 사춘,오춘들 남자들이 와서 대신 하는 집도 있단다

 

아니! 

딸들만 있지만 상주는 일단 완장(?)을 차고 서서 객들을 맞이하며 서로 인사하고 약간의 말도 나눈다

그런데 부모가 돌아가셨는데 사춘, 오춘들, 손자들이 딸만큼 부모에 대해 뭘 안다고 ...

단지 남자라는 이유만으로 그냥 서 있다

 

만약에 어머니가 돌아가셨는데 어머니와 친한 분들이 와서 어떡게 돌아가셨는지 얼마나  투병을 했는지 그동안 살림은 누가? 어떡게? 뭘? 이런것을 물어본다면  이때  친자식도 잘 모를수 있는데 하물며 사춘 이상들은 더 모른다

질문을 한다면 뭐라고 대답할까?

 

상주노릇도 쉽지않다고, 그러면서 제사모시고 묘지관리까지 하라고 남자들이 말하는데

제사도 차츰 줄어드는 형태고 화장문화는 벌써 70%가 넘었다

 

에그~

유교문화가 조선시절에는 좋았지만 현대에 와서 구박을 받는다

 

그저 저도 한마디 했음죠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찬설명?  (0) 2020.12.29
염장이가 본 코로나 죽음  (0) 2020.12.22
세계기상기구 내년 달력사진 공모전에 한국 작품 선정  (0) 2020.12.17
진정한 배려  (0) 2020.12.13
글 읽는것도 쉽지 않다  (0) 2020.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