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는 이야기

평생현역 이것이 답이다

"평생현역 이것이 답이다"(자유학기제와 시니어의 역할)

12월 24일 성탄절 이브날 브리지센터에서는 한국진로직업아카데미의 원장이신 이영철씨의 강연이 있었다

 

쏟아져 나오는 시니어들 다 무엇을 하고 살것인가?  백세시대 이것도 여간 고민이 아니다 이에 알맞는 방법을 여기에 제시한다 실지 웰다잉, 인성교육, 박물관해설, 숲해설, 어린이집보조,,,,, 등 시니어가 할수있는것이 7개도 안된다고 한다 그만큼 나이들면 할수 있는 일이 없다는 표시, 그중에 하나가 새로나온 '자유학기제'다

 

강사를 하려면 개인으로 뛰는것도 있지만 정부가 인정한 기관을 등록해서 하는것하고는 다르다 자유학기제는 구청하고 학교하고 교육청하고 서로맺여서 한다

자유학기제가 만들어졌는데 강사가 없다 이영철원장은 컴푸터를 전공하여 전문대학서 컴푸터체험을 한다 그외는 현재 대부분 견학이다

 

현재 '한국진로직업아카데미'서는 이런것을 위하여 강사양성을 목적으로 운영한다

55세 시니어가 직업상담자격증 하나 가지고 "나 이런것있다" 내밀면 쳐다보지도 않는다 시니어들 이력서 볼 때 면접도 마찬가지 젤먼저 보는것이 나이다 나이가 시니어들 발목을 잡는것이다

어디선가 전기기사 1명모집하는데 200명이 넘게 왔단다

 

그래도 '열정'만 있으면 같이할 수 있다고 이대표는 말한다 하고자 하는사람한테는 기회가 온다는것

현재의 시니어들은 열정은 없고 간보러 다니기에 열중해 돈만 된다하면 쫒아다니기 바쁘다

숲해설사 120만원 준다하면 무조건 간다 자기가 그것을 할 줄 아는지 모르는지도 모른다 "교육만 받으면 된데.."

하고는 능력도 안되면서 간다 

 

 

 

 

 

 

 

 

 

 

 

2016년 서울부터 자유학기제가 실시된다 중학생(1,2학년)이 대상이다 초등생은 아직 어리고 고등학생은 학부모가 반대하여 일단 중학생부터 한다

체험의 종류: 헤어샾, 요리, 농가체험, 방문견학, 간접체험등....

체험센터는 정부도부터 공인된 기관만 된다 동아리 활동도 있음

 

현제 진로체험센터는

정부 공공기관, 국가기관,  단체/기관,  대학교,  연구소 등이다

(주로 견학이 가능한 국가기관 중심, 실제 체험이 가능한 기관은 매우 미흡상태지만 앞으로 나아질것이다)

 

이젠 학력만 갖추는 사람보다 능력위주로 가야한다 서양은 자기가 공부를 좀 못한다하면 기술을 배우고 가르친다 우린나란 무조건 개나 소나 거의 대학을 가야만 하는줄로 안다 공부를 너무못해 발표한번 못하고 대학을 나오는 사람도 봤다 이런사람은 단체발표에 이름만 올리고 식사값을 낸다

현제 기업은 인턴조차도 경력있는 사람을 우선시한다 스펙이 아니다 능력을 보기로 하여 자유학기제가 실시되는것,  처음 실시하니 약간의 혼란도 있을것이다 현장체험을 한다

 

 

---------------]

 

자 그렇다면 은퇴하는 시니어가 하는 역할을 구체적으로 보자

 

1.진로직업과 관련된 강사(프리랜서)

♠  청소년대상(중.고)대상 멘토강사,  청소년대상 진로 컨설팅, 학부형대상 진로직업교육, 은퇴대상자 직업컨설팅,

    대기업/중소기업, 생애설계교육.

 

2. 청소년(중.고)대상 멘토강사

♠ 중  학 교 : 진로직업강사(1~2시간) : 진로체험센터이용(교육청,지자체 공동운영)

♠ 고등학교 : 전국 고등학교 직업체험 특강강사(1~2시간):학교장 자체 주관 운영

2개월(강의스킬, 전문분야 전문지식)정도 (반드시 혼자는 힘들고 단체나 조직이 필요) 나이제한은 없음

 

3. 청소년대상 진로 컨설팅

♠ 대상 : 중학교/고등학교, 다문화기관, 취약청소년

♠ 내용 : 진로직업상담(1~2시간)

 

4. 은퇴자 직업 컨설팅

♠ 대상 : 대기업/중소기업 퇴직자 컨설팅

♠ 내용 : 적성검사, 직업컨설팅(대상자는 원하지만 실제 결과에는 만족하지 않음)워크넷 및 시니어교육기관 등에서

           시행했음

♠ 도구 : (MBTI, 디스크, GATB, 홀랜드, STRONG, 에니어그램 등)

교육/자격증

심리상담사, 직업상담사, 진로직업코칭, 멘토 등(개인적인 접근은 어려움)

 

5. 대기업/중소기업, 생애설계 교육

♠ 직업전문가 , 전직지원전문가 창업닥터, 퇴직후 사례발표자 시니어 일반교육(건강, 재무, 일, 관계)

♠ 대기업은 특정기관과 협력체계로 정기적인 교육 시행

♠ 대부분 강의경력 5년정도 소유자로 소속기관 /단체와 MOU체계로 운영됨

 

6. 학부형대상 진로직업교육

♠ 학부형들의 진로직업교육 관심도 증가

♠ 지방자치체 평생교육원, 여성인력개발센터, 기타교육기관(주로 재능기부차원에서 학부형들이 원함)

 

7. 결론

자유학기제 체험교사는 시니어에게 가장 적합한 직업이다

관련기관이 많지않으며 자생적 활동 필요

시간,비용, 노력을 최소화와 전직전문 역량을 활용할 수 있다

 

그외 일이라든가 강의하실분들 한국진로직업아카데미에서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주    소 : 서울시 강남구 봉은사로 114길 43

전    화 :  070-7718-7222  

H      P :  010-9527-7222

E-mail  :  lychul 1000@naver.com

 

평균수명이 길어져 얼마라도 벌고 남은생애를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나이제한은 없고 열정과 하고자하는 의지만 있으면 됩니다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으로 SNS하기  (0) 2016.01.02
동작구 사회적기업 송년회  (0) 2015.12.30
서울대생 9급 공무원 취업이야기  (0) 2015.12.23
새출발 어떻게 하지!  (0) 2015.12.23
성희롱  (0) 2015.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