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나림 기사입력 2019-10-21 20:13 최종수정 2019-10-21 20:15
"돈 맡겨도 이자 못 드려요"…그래도 은행 '북적'
◀ 앵커 ▶
한국 은행이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내리자 은행들도 곧바로 금리를 낮추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대출 금리가 아니라 예금 금리 얘기입니다.
급기야 이자가 0%대인 예금까지 등장했습니다.
은행에 돈을 맡겨봐야 이자가 거의 안 생기는 상황인데 그런데도 돈은 여전히 은행으로 몰리고 있습니다.
이유가 뭔지, 강나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예금 들면 이자를 얼마나 주는지 은행 몇 곳에 물어봤습니다.
오늘 기준 1년짜리 예금 금리는 평균 1% 중반.
[A은행]
"1천만 원 이상 1.6%, 5천만 원 이상이 1.61%"
지난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내리자 예금 금리도 곧바로 떨어지기 시작한 겁니다.
[B은행]
"1년 예금이 지금 1.65%예요. 지난주 1.7%였는데… 지난주 한국은행 기준금리 내리면서 반영이 오늘부터 된 것 같아요."
[A은행]
"1.6%도 이번주에 조정 한 번 받을 거예요. 저기에서 더 떨어질 수도 있어요."
한 달짜리 예금은 이미 금리가 0%대까지 내려갔습니다.
금리가 더 떨어질 거란 전망이 나오다보니 장기예금도 이자를 더 주지 않습니다.
[B은행]
"2년, 3년도 거의 차이 없고 다 똑같아요.
오히려 지금은 장기랑 단기 금리가 역전이 돼가지고 장기 금리가 좀 더 낮게 나온다고 보시면 되는데…"
1천 만원 저금해봐야 연이자 10만 원 남짓, 물가상승률 생각하면 사실상 수익이 없는 셈입니다.
[이도연]
"(이자 수익) 1% 난다고 하면… 직장인 같은 경우 많이 넣어봤자 생활도 빠듯한데다가"
그런데도 돈은 은행으로 몰리고 있습니다.
KB국민, 신한, 우리, KEB하나은행 등 주요 5개 시중은행 정기예금 잔액은 653조 원.
1년 전보다 68조 원이 늘었습니다. 경기 부진 때문에 금리를 내린 건데, 또 이 때문에 불안 심리가 생기며 안전한 은행으로 몰려가는 겁니다.
[김현우/행복자산관리연구소장]
"(시장 상황이) 그렇게 불확실하다보니까 투자를 하기도 마땅치 않고요. 갈 곳을 잃은 돈들이 은행 예적금이나 유동성 자금, 대기자금에 몰린다."
대출 금리의 경우 예적금 금리보다는 한발 늦게, 기준이 되는 코픽스 금리가 다음달 공시되면 따라서 내려갈 예정입니다.
MBC뉴스 강나림입니다. (영상취재 : 이상용 남준수, 영상편집 : 이호영)
-----
우리나라도 일본이나 다른 선진국들처럼 평균 1%로 진입했다 이자를 못준다고해도 은행으로 몰린단다
"1천만 원 이상 1.6%, 5천만 원 이상이 1.61%"
지난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내리자 예금 금리도 곧바로 떨어지기 시작한 겁니다.
은행마다 조금씩 다르기는해도 거기서 거기 앞으로는 은행에 돈 맏기려면 보관료를 낼지도 모른다
경기가 안좋아 대출을 안해가니 그렇고 또 맏기는 쪽에서도 사회가 도무지 믿을수 없어 그나마 은행이 가장
믿을만하니 그런대로 찾는것 같다.
현금 두둑히 있는 사람들 이자먹고 사는 사람들 머리좀 아풀것
그러니 자꾸 좋은목에 있는 땅이나 부동산을 사들인다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족, 불만족 (0) | 2019.10.29 |
---|---|
도전하라 도전하라 도전하라 (0) | 2019.10.29 |
청첩장 돌립니다 (0) | 2019.10.21 |
살 빼려고 하지 마세요 지금 그대로가 좋아요 (0) | 2019.10.21 |
살쪄 스트레스 받느니 굶어 '뼈말라'..37kg인데 더 뺄래요 (0) | 2019.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