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0.06 발행 [1533호] / Home > 기획특집 > 일반기사
“모 심은 논에 물이 철철 들어가는 그 소리가 제일 좋아유” 할아버지와 ‘태웅농장’ 운영하는 고등학생 농부 한태웅(요한 사도)군
▲ 8년차 ‘소년 농부’ 한태웅군은 대농의 꿈을 이루고, 농민들에게 힘이 되는 가사를 만들어 노래를 부르는 농촌 가수가 되고 싶다고 했다.
-----
가을걷이가 끝난 11월입니다. 농부의 삶 속에는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소양이 함축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들은 하늘에 순종하고, 땅을 일구고, 생명을 돌보고, 먹이며, 보살피죠. 소비에 익숙한 도시의 신앙인에게는 농부가 좋은 본보기가 됩니다.
그렇다면 농부의 마음이란 무엇일까요. 최근 다큐멘터리와 예능에서 ‘소년농부’로 화제를 모은 한태웅 군(17)을 가톨릭평화방송·평화신문이 만나고 왔습니다. 아직 돌봄이 필요할 듯한 청소년이지만, 온갖 생명을 돌보는 9년 차 농부로서 책임감이 여느 어른 못지않습니다. 그런 그도 ‘요한 사도’라는 세례명의 신자라는군요.
도농한마당잔치 25주년을 맞아 작은 그리스도인의 인터뷰(10월 6일자 가톨릭평화신문) 일부를 옮깁니다.
발췌·정리 서동경 안나 | 홍보위원회
-----
#1. 나는 농부다
“올해 소작을 늘려서 잘된 데도 있는데, 태풍에 쓰러진 곳도 있어 걱정이에유…. 농사일을 후회한 적은 없습니다. 모심어 놓은 논에 물이 철철 들어가는 그 소리가 제일 좋아유.”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에서 조부모와 논 4,000평, 밭 3,000평을 일구고 있는 한태웅(수원교구 미리내본당)군. 태웅군이 할아버지와 함께 운영하는 태웅농장에는 소 16마리와 염소 40마리,닭 30마리가 있다. 새벽 5시에 일어나 농장과 논밭에 들렀다학교에 가면 수업 시간에 안 졸릴 수가 없다.
중략....
#3. 열심 사는 겨!
“어디 가서 농사를 짓는다고 하면 사람들이 하찮게 봅니다. 제가 농사짓는 모습을 유튜브나 방송으로 보시면서 농업에 대한 고정관념이 바뀌었으면 좋겠어유. 지금이야 사람들이 쌀이 많아 버리지만, 몇십 년 후에 우리나라 농부들이 농사를 안 지으면 수입을 해야 하는데,
그때부터 쌀값은 수입하는 나라에서 부르는 게 값이에유.”
그가 농부의 길을 걷는 데 가족의 반대가 없었던 건 아니다.그만큼 농사가 힘들기 때문이다. 작년에는 벼 수확을 일주일 앞두고, 태풍이 와서 꼿꼿이 서 있던 벼들이 다 누워 썩어 버렸다.
“벼는 3일만 쓰러져 있어도 싹이 올라오거든요. 쓰러지면 벼를 밀 때 다 못 걷어 올려요. 벼가 밟히는 모습을 볼 때 제일 힘들었습니다.”
태웅군은 “성당에 안 다녔다면 지금처럼 안 됐을 것”이라며 “맨날 기도하니까 하느님이 해주시는 거 같아 감사드린다”고 했다. 요즘 성당에 가서 하는 기도는 “연로한 어르신들 농사일 돕게 콤바인 좀 사게 해달라”는 것이란다.
그의 방문에는 ‘열심 사는 겨!’ 가 써 붙어 있었고, 책상에는감사 일기가 올려져 있었다.
이지혜 보나 기자 | 가톨릭평화신문
----------
방송 '안녕하세요'에서 한번 그를 본적있다 가끔씩 그 프로를 보는데 지금은 없어졌다.
그때는 중학생였고 지금 사진보니 꽤 컸다. 세련된 인상으로 농부같지 않다고 하니 미용실에서 머리를 깎아 그렇다고 능청스런 사투리를 쓴다. 안성시도 사투리를 쓰는지~~
당시 어머니가 아들이 공부는 안하고 오로지 농사일과 짐승 기르고 심지어 염소새끼 낳는다고 조퇴하고 온다며 근심걱정을 늘어놓는것을 봤다. 당시 이영자씨 신동엽씨 김태균씨와 초대된 게스트들도 한결같이 소년농부를 좋게 보는편이었는데 엄마는 저 실력으로 農高도 못가게 생겼다고 걱정이다
어린 중학생은 말도 잘한다. 공부 못하지만 농사일이 좋아서 한다고, 새벽같이 일어나 닭 모이주고 우리도 청소하고 친구들과 만나서 하는 이야기가 주로 계란값이 어떻고 ~~~
노래는 또 얼마나 잘하는지 그것도 어른들이 주로 부르는 트롯트를 구성지게 부른다.
"야! 너 참 대박이다" 컬투의 정찬우씨가 한 말
사람들이 농사가 힘든 일이니 노래도 잘하고, 유머도 좋고, 말도 잘하니 방송을 타서 그쪽계통으로 나가야 힘도 덜들고 출세하는게 더 낫지 않냐고 꼬드긴다는 말도 들었다
아니!
지금 한창 일 잘하고 있는데 한쪽에선 여전히 살살 "뭐 그렇게 힘들고 별로 잘 벌지도 못하는 농사일에 매이냐고" 하는 못된 사람들 여전히 있다고
부탁인데 "제발 좀 끼여들어 참견말고 꼬드기지들 말라?"
소년말대로 농사짓는 사람도 있어야 하고 과학자도 변호사도 청소부도 있어야 한다.
농사 짓는거야말로 순수한 사람들이 주로 한다 농심이 없으면 농사 못짓는다.
옛날이야 우리나라가 농업이 주를 이루다보니 너도 나도 농사를 졌지만 지금은 시대가 달라져 농사보다 공업에 상업에, 공무원에 ..등등 다른것에 더 집중한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앞으론 전쟁,테러가 아닌 물론 그것도 문제이긴 하지만 더 인간을 힘들게 하는것이 바로 '굶주림'이다 지금도 지구의 반이 하루 한,두끼로 겨우 허기를 면하고 그것조차도 못먹는 사람들이 많다는데
지구환경의 변화가 벌써부터 시작됬다 사막화는 더 커질것이고 미세먼지 더 날리고 온난화로 없어지는 나라도 생길것이고 그러다 보면 땅이 황폐해져 곡식을 심지 못하고 심어도 제대로 자라지 못할것
사람이 사나흘 굶으면 눈에 뵈는게 없어진단다
북에서 그렇게 죽음을 무릎쓰고 넘어오는것도 대부분 먹고살기 힘들어서다 지금은 우째 덜 넘어온다
암튼 농사는 세계적으로 먹거리를 우선준다
정말로 앞으론 '먹거리전쟁'이 인류를 힘들게 할지도
"한태웅군! 정말로 선택을 잘했어요 누가 뭐래도 듣지말고 꿋꿋하게 농사 잘 지었으면 좋겠네요"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턴 투워드 부산 (11월 11일 무슨날인가요?) (0) | 2019.11.11 |
---|---|
가을날의 병원방문 (0) | 2019.11.10 |
만족, 불만족 (0) | 2019.10.29 |
도전하라 도전하라 도전하라 (0) | 2019.10.29 |
"돈 맡겨도 이자 못 드려요"…그래도 은행 '북적' (0) | 2019.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