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속 시리즈물

고흐에 대한 이런저런글 6부




             1886, 캔버스에 유채, 45×37.5cm, 반 고흐 미술관 소장

<          (신발 한 켤레)




고흐에게 신발은 신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었다. 누군가가 신고 산길이든 밤길이든 걸어야 신발로서 존재가치가 있다고 믿었다. 그러다 보니 광택을 내기는커녕 끈조차 제대로 맬 필요가 없었다. 그가 그린 신발 속에는 남루한 농부의 소박한 삶이 고스란히 묻어나고 있었다. -어디서 가져왔는데 글이 너무 멋있어서..저자


이 신발은 1886년 파리의 어느 벼룩시장에서 고흐가 구입한 낡은 신발이라고 한다 이것 말고도 그는 낡은 신발들을 더 그렸다

----------

독일의 실존주의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는 1960년 '미술작품의 기원'이라는 책을 통해 그림에서 볼 수 없는 신발의 주인과 그 사람의 삶을 상상했습니다  그의 묘사에 의하면 신발의 주인은 농촌에서 밭일을 하는 여성입니다. 신발을 통해 농촌의 풍경과 농촌여성으로서의 삶을 상상해볼 수 있었습니다, 하이데거는 고흐의 작품을 통해 삶의 아름다움을 보려한 것 같습니다.


미국의 미술사학자 에이어 샤피로는 1969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하이데거가 고흐의 그림에 대한 예술성을 논하지 않고 단지 철학적 상상력을 설명하기 위해 작품을 요용한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리고 신발의 주인은 농촌에 사는 사람이 아닌, 도시에 사는 고흐 그 자신이라고 보았습니다.


프랑스 철학자 쟈끄 데리다는 1978년 '회화의 진리'를 통해 고흐의 신발이 정말 한쌍인지 의문을 가졌고 구두의 진짜 주인은 알 수 없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1987년 '상환'이라는 논문을 통해 '진리가 제거된 그림, 그래서 더 이상 그 누구에게 무언가를 말해야 할 필요성이 없는 그림을 꿈꾼다. '라는 결론을 내립니다.


반 고흐는  사후에 '한 켤레의 신발'이라는 작품을 두고 이런한 논쟁이 벌어질 줄 몰랐을 것입니다.


세 사람의 이야기는결국 '한 켤레의 신발'과 작가 반 고흐에게 보다 의미있는 가치를 풍성하게 부여하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생략

가져온글 입니다

------   --------------



빈센트 반 고흐 "거룩한 구두 한켤레" 한상봉 / 승인 2017.12.25 15:49

[빈센트 반 고흐, 내가 하느님을 보는 눈-3]

<낡은 구두 한 켤레>(1886)부재의 현존-낡은 구두 한 켤레구두끈이 뻣뻣하게 꼬여있는 가죽 구두 한 켤레. 주름이 잡혀 있고 진흙이 묻어 있어 있다. 황금색과 흰색이 신비스럽게 섞인 배경은 마치 후광처럼 신발을 부각시키고, 왼쪽으로 떨어지는 그림자만이 바닥의 느낌을 살려준다. <낡은 구두 한 켤레>(1886)이다.

 이 그림을 보고 독일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는 <예술작품의 기원에 대하여>라는 논문에서 이렇게 말한다.“낡은 신발 안쪽으로 드러난 어두운 틈새로 주인의 고생스러운 걸음걸음이 뚜렷하게 보인다. 딱딱하게 주름진 신발의 무게 안에는 스산한 바람이 휩쓰는 넓게 펼쳐진 들판에 균일하게 파인 고랑들 사이로 터벅터벅 천천히 한 걸음씩을 옮겨놓았을 그녀의 발걸음들이 쌓여 있다.


 구두 가죽에는 대지의 습기와 풍요로움이 스며 있고, 구두창 아래에는 해가 떨어질 무렵 밭길을 걸어가는 외로움이 펼쳐져 있다. 이 신발에는 대지의 소리 없는 외침이 진동하고 있다.”

토마스 카알라일은 <의상철학 Sartor Resartus>에서 우리가 입는 옷을 “육신의 껍질”이라고 했다. 고흐는 그 인간 껍질 가운데 가장 낮은 부분에 있는 ‘신발’을 선택했다. 이 구두는 “이 신발을 남기고 간 노동자의 혼을 대변하며, 우리에게도 이 신발을 신어보고 그의 삶을 체험해보도록 초대한다.”고 클리프 에드워즈는 말한다

출처 : 가톨릭일꾼(http://www.catholicworker.kr)
-------

그의 낡은 가죽구두 한 켤레를 놓고 이렇게도 아름답게 찬사한다 저자야 아는게 없어 그저 신발을 바라보고 어렵고 노동하는 사람이 신은 신발일것이라고 생각했다
한상봉씨는 거룩한 구두하고 한다 그렇다 노동하는 손은 거룩하고 노동하는 발(신발)은 아릅답다
시골서 투박하게 손을 가진 할머니들을 보면 얼마나 힘들게 살아오셨고 일을 많이 했는지 보인다.

나도 젊은날부터 지금까지 고무장갑 안끼고 설거지하고 다른일도 한다 어쩌다 고무장갑 낄때도 있지만 거의 안낀다 지금은 늙어서 완전히 노인손이 되었고 힘줄도 툭툭 튀어나왔고 주름살과 검은반점도 많다

젊어서도 아펐지만 사정상 일을 안할수가 없어 일을 그래도 했다 어느날 어떤이가 내손을 보더니
"일을 많이 했구먼"   어떻게 알아요? 물었더니 힘줄이 툭툭 튀여나온것은 일을 많이 했다는 표시란다
그 소리듣고는 얼마나 고마운지 속으로 "사람 볼 줄 아는구먼"

젊은날 면접가면 손을 볼때가 있는데 대부분 나더러 일을 하나도 안한손 같다고 하는데 진짜로 볼 줄 아는 사람은 윗글처럼 말한다 그게 맞는다 난 내가 벌어서 이것저것 하고푼것 했다 집도 사고 여행도 가고
하얀 얼굴에 야한 타입에 노란 머리에 사람들은 나를 야스럽게 본다 실지 손은 투박하다

고흐의 거룩한 신발 한켤레가 이토록 여러가지를 상상케하고 눈물이 나도록 고맙다

계속~~~